COVID-19 여파로 소비가 위축된 와중에도 대구에 등록된 외제 자가용 수는 폭발적으로 많아진 것으로 보여졌다. 특출나게 젊은 연령층 사이에서 외제차 선호가 높아지면서 '카푸어', '리스 사기'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커지고 있다.
17일 대구시 차량등록산업소의 말을 인용하면 요즘 4년간 대구시에서 등록된 승용차 수는 2011년 95만9천195대, 2014년 93만6천776대, 2019년 94만9천600대, 2012년 95만5천6대, 전년 101만7천76대로 나타났다. 이 중 외제차 등록 수는 2017년 19만576대, 2012년 15만7천187대, 2012년 14만2천772대, 2017년 16만8천312대, 전년 15만1천658대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만 대구에서 7만3천360대의 국산차가 불어난 반면, 국산차는 8천737대 늘어나는데 그쳤다. 최근 7년간 국산차 등록 수가 3만1천86대 많아지는 동안 국산차는 4만6천799대 늘었을 뿐이다. 국산차 증가세가 국산차 증가세의 2배에 가깝다.
특이하게 외제차 선호는 비교적 젊은 연령층 사이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작년 30대부터 40대까지 수입차 등록 대수는 4천77대 많아진 반면, 중고 화물차 같은 연령층 국산차 등록 대수는 거꾸로 6천893대가 감소해온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