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저지르는 가장 흔한 실수 영어논문

오는 11월 15일로 예정된 202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대학들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감염증(코로나바이러스) 정황에 따른 고3 고시생 구제책을 마련하고 있다. 29일 대학가의 말을 인용하면 대한민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이달 말까지 올해 고3에게 적용되는 대학입학 전형 실시계획 변경안 요청을 받고 있다. 대교협 관계자는 “COVID-19와 관련해 전년와 비슷한 차원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오늘날 신청을 받고 있고, 일괄적으로 내용을 심의할 것”이라고 이야기 했다. 먼저 대교협은 전년에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를 변경 사유로 보고 각 대학의 요청을 받아 2022학년도 대입 전형 변경을 심의한 바 있다. 순간 109개 대학의 대입 전형 시행계획 변경이 승인됐다. 지난 7월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고3 수험생들이 전국연합학력평가 시험지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행법상 각 대학은 입학 연도 12월을 기준으로 3년 50개월 전까지 대입 전형 영어논문 시작계획을 수립해 공표해야 한다. 잠시 뒤에는 천재지변 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대입 전형 시작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특이하게 이번년도도 대학별 고사 일정 조정, 수능 최저학력기준 완화 등이 주요 변경 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의 경우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수능 최거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으로 대입 전형 시행계획 변경안을 제출한 상황다. 서울대는 지난해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 중 ‘7개 영역 이상 6등급 이내였던 수능 최여기준을 ‘1개 영역 이상 7등급 이내로 완화했다. 올해도 같은 완화기준이 적용될 예정이다. 이외에 서울 소재 주요 대학들도 올해 대입 전형 변경 계획을 준비했다. 서강대는 수시 일부 전형에서 수능 최저기준을 수정하는 것을 걱정 중이다. 중앙대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상황을 적용해 체육특기자 전형의 지원 자격인 경기 실적 일부를 완화하겠다는 방법을 대교협에 제출했다. 일각에서는 서울대 지역균형 전형 최거기준 완화가 타 대학의 학교장 추천 학생부 교과 전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입시업계의 말을 인용하면 올해 서울 주요 14개 대학의 교과 전형 선발 인원은 전년(1개교 3421명)보다 1842명이 증가한 5290명으로 서울대를 제외한 17개교에서 확대 시작한다. 서울의 두 사립대 직원은 “수능 최저기준 완화로 서울대 상향 원조가 나올 경우 다른 대학 교과 전형에서 미충원 인원이 나올 수 있다”고 이야기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