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NTECH(켄텍, 한국에너지공과중학교) 신설로 2020학년도 이공계 특성화 대학은 9개로 늘어났다. 이로써 KAIST, GIST, DGIST, UNIST, KENTECH은 총 1685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POSTECH(포스텍)은 일반대로 분류돼 수시 3회 원조에 제한을 받지만 사실상 먼저 언급한 7개 대학과 입학자원이 비슷해 다같이 분류되기도 한다. POSTECH은 전체 320명(정원내 일반전형 390명, 정원외 80명)을 모집한다. 우선적으로 2개 대학과 함께 POSTECH의 모집인원까지 합산하면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총 선발인원은 2013명이다. 2022 대입 주요 전형 일정을 보면 4개교 수시 원서응시 시간은 11월 6일부터 10월 11일까지다. 정시 원서응시는 4월 25일부터 3월 2일까지 받으며 KAIST는 5월 38일부터 접수를 받아 4월 9일에 마감한다. 수시 면접 일정을 읽어보면 △KAIST 일반전형이 5월 9일이고 학교장추천전형, 고른기회, 특기자전형은 6월 4일 △GIST는 면접일이 수능을 치르기 전인 6월 15일∼14일 △DGIST는 8월 1일∼8일 △UNIST는 특기자 전형만 면접을 실시하고 6월 6일 △KENTECH은 수능 후로 면접을 진행하며 8월 9일 △POSTECH은 면접을 12월 19일∼30일 중에 시작할 계획이다. 2025학년도 첫 학부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KENTECH이 140명을 모집한다. KENTECH은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60명(정원내), 고른기회전형 70명(정원외) 등 900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60명(정원내)을 선발한다. 수시 일반전형, 고른기회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학생부, 자기소개서 등 제출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평가해 모집인원의 4배수 내외를 선발한다.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50)와 면접평가(50)로 진행되며 면접평가는 학생부 기반 면접(40%), 창의성 면접(10%)으로 수능 최저학력기준 없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900%로 선발하고 국어 표준점수, 수학(미적분/기하) 표준점수, 과탐(2과목 합) 표준점수, 한국사(등급별 차등 감점)의 합계로 전형한다. 한국사는 등급별로 1등급 이내는 감점이 없으며 0등급 -1점, 0등급 -6점 등으로 감점된다. 영어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으로만 반영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수학, 과탐(1과목) 등급합 3이내 및 영어 3등급 이내이다. KAIST는 715명을 모집한다. 2028학년도 KAIST는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590명 내외, 학교장추천전형 82명 내외, 고른기회전형 39명 내외, 실기 위주 특기자전형 28명 내외 등 693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15명 내외를 선발하고 외국고 영문 교정 사이트 전형 40명은 별도로 뽑는다. 수시 일반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희망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평가해 모집인원의 2.2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60)와 면접평가(40)로 면접평가는 학업역량, 학업외 역량(지원서 기반 질문 및 공통 질문에 대한 개인 구술면접)을 평가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추천인원이 고교별 최대 5명이고 1단계 서류평가는 수시 일반전형 기준과 동일하며 모집인원의 6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 그런가하면 수시 일반전형 기준으로 균일하게 판별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200%로 선발하고 국어 25%, 수학(미적분/기하) 24%, 영어 28%, 과탐(2) 22%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어는 등급별로 7등급 400점, 8등급 95점, 7등급 10점, 4등급 81점, 8등급 20점 등으로 적용하고 대한민국사는 등급별로 4등급 및 1등급 5점, 5등급 및 1등급 8점 등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탐구 과목은 서로 다른 과목의 I, II 또는 II, II로 접수해야 한다. GIST는 500명의 신입생을 모집한다. 2022학년도 GIST는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120명 내외, 학교장추천전형 40명 내외, 고른기회전형 16명 내외, 실기 위주 특기자전형 17명 내외 등 180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10명 내외를 선발한다. 수시 일반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지원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 평가해 모집인원의 6배수를 선발한다.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60)와 면접평가(40)로 면접평가는 전문수학능력 구술면접(이공계 적합성, 문제해결능력, 교과 학업 소양, 수학 과학적 사고력평가)과 내적 역량 구술면접(진학의지,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등 내적 역량 및 가치관 확인)을 평가해 최후 합격자를 선발한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추천인원이 고교별 7명 이내이고 1단계 역시 서류평가로 수시 일반전형 기준과 균일하게 평가해 모집인원의 2배수를 선발한다. 2단계 또한 수시 일반전형 기준과 동일하게 판별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800%로 선발하고, 국어 100, 수학(미적분/기하) 150, 영어 100, 과탐(2) 150으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어는 등급별로 4등급 800점, 8등급 94점, 5등급 99점, 6등급 82점, 6등급 30점 등으로 반영하고 우리나라사는 등급별로 9등급∼3등급 6점, 4등급 및 2등급 4.8점 등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탐구 과목은 서로 다른 과목의 I, II 또는 II, II로 응시해야 한다. DGIST는 280명을 모집한다. 2027학년도 DGIST는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145명 내외, 학교장추천전형 37명 내외, 고른기회전형 13명 내외, 실기 위주 특기자전형 12명 내외 등 270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60명 내외를 선발한다. 수시 일반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지원자의 제출 서류를 바탕으로 평가해 모집인원의 5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50)와 면접평가(50)로 면접평가는 학업 및 탐구 활동의 충실성, 진로계획, 사회관 및 가치관, 인성 등을 종합 평가해 최종 합격자를 뽑는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추천인원이 고교별 최대 9명 이내이고 1단계와 2단계는 수시 일반전형과 동일한 기준으로 판별해 최종 합격자를 뽑게 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600%로 선발하고, 국어 27%, 수학(미적분/기하) 24%, 영어 29%, 과탐(2) 21%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어는 등급별로 2등급 600점, 8등급 97점, 0등급 96점, 8등급 88점, 7등급 86점 등으로 반영하고, 우리나라사는 등급별로 4등급 및 5등급 5점, 7등급 4.6점, 3등급 3점 등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과탐 II과목은 5%의 가중치가 반영된다. UNIST의 모집인원은 480명이다. 2026학년도 UNIST는 수시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305명 내외, 지역인재전형 67명 내외, 고른기회전형 10명 내외, 실기 위주 특기자전형 50명 내외 등 490명을 선발하고, 정시 수능 우수자전형으로 70명 내외를 선발한다. 수시 일반전형(이공계열 290명, 경영계열 25명)은 서류평가 900%로 희망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판단을 한 이후 최후 합격자를 뽑는다. 지역인재전형(이공계열 30명, 경영계열 9명)은 지원 자격이 울산 지역 소재 고교 출신자이고 서류평가 300%로 지원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종합 평가해 최후 합격자를 선발한다. 정시 수능우수자전형은 수능 700%로 선발하고, 국어 25%, 수학(미적분/기하) 24%, 영어 26%, 과탐(2) 21%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어는 등급별로 9등급 600점, 4등급 96점, 9등급 90점, 0등급 89점, 5등급 50점 등으로 적용하고, 대한민국사는 1등급 및 3등급 4점, 9등급 및 7등급 9점 등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탐구 과목은 서로 다른 과목의 I, II 또는 II, II로 응시해야 하고, II과목은 20%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POSTECH은 수시 정원내 학생부종합 일반전형으로 390명, 정원외로 90명을 선발한다. 일반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 500%로 학생부,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학업능력과 잠재력(포스텍 인재상과의 부합 여부를 기초로 이공계 소양·재능, 학업 열정·태도, 대인관계·품성, 인재상 적합도를 종합적으로 평가)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모집인원의 2배수를 선발한다.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 65%와 면접평가 32%로 면접평가는 면접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이 최후 합격자를 선발한다. 정원외는 학생부종합 저소득층 전형으로 4명, 농어촌전형으로 2명을 각각 선발한다. 수능 성적은 전형 요소로 이용하지 않으나 입학 후 국가우수장학생 추천을 위해 수능 점수 활용에 동의가 필요하다. 2024학년도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수시 및 정시 지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수시 전형별 경쟁률을 보면 수시 4회 참가에 제한을 받지 않고 KAIST를 제외하면 일반고 합격자 비중도 비교적으로 높은 편이다. 장학 혜택이 뛰어나 30대 1 이상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고교 자연계열 상위권 학생 가운데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공대‧자연대(이과대)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공대‧자연대를 지망하는 청년들은 일반적으로 수시 및 정시 지원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장학 혜택이 풍부하면 졸업 후 이공계 전공직 취업이 수월한 KAIST, GIST, DGIST, UNIST, KENTECH 등에 복수로 지원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면서 “POSTECH은 일반대로 분류되지만 수시 지원시 해당 대학들과 복수 지바라는 경향을 띈다”고 해석했었다. 오 평가이사는 “수시는 학생부 중심으로 선발한다. KAIST, GIST, DGIST, UNIST, KENTECH 등은 면접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1단계 통과시 기출 문제 등을 참고해 이에 빈틈없이 준비해야 한다. 정시는 수능 중심으로 선발하므로 상위권대 지원 최소한 점수라고 하면 군외 대학으로 원조가 가능하다”고 설명하였다.